본문 바로가기

정호영 호른 독주회 [Episode I. Europe]

정호영 호른 독주회 [Episode I. Europe]

정호영 호른 독주회 [Episode I. Europe]

일자
2024.06.20 ~ 2024.06.20
시간
19:00
장소
주최
정호영
주관
정호영
문의
010-3222-8378
러닝 타임
약 70분

○ 깊고 풍부하며 따뜻한 음색으로 감동을 선사하는 호르니스트 정호영은 충남예술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이후 독일로 건너가 프랑크푸르트 국립음대(Hochschule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Frankfurt) 석사과정(Master)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며 전문연주자로서의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일찍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콩쿠르 3위 및 연세대학교 콩쿠르 1위 등에서 입상하여 탄탄한 실력을 인정받은 그는 서울유스오케스트라(소향), 경찰오케스트라, 유라시안필하모니오케스트라, 강남오케스트라, 프랑크푸르트 오페라 오케스트라(Frankfurter Opern und Museumsorchester) 등 다수의 오케스트라에서 단원 및 객원수석 등으로 활약하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남도립교향악단, 제주특별자치도립 서귀포관악단, 연세대학교 오케스트라, 충남예술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등과 다수의 협연 무대를 통해 호평을 받으며 호르니스트로서의 입지를 다졌으며, 실내악 연주에도 조예가 깊은 그는 독일 유학 시절 목관 5중주 팀으로 프랑크푸르트장학재단(LMN)에 합격하여 2년간 활발히 활동하기도 하였다.

귀국 후 서울시립교향악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충남도립교향악단, 춘천시립교향악단, 전주시립교향악단, 과천시립교향악단, 천안시립교향악단 등에서 객원 수석 및 객원 단원을 역임하였으며, 미엘 목관 5중주의 멤버로 실내악 연주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갔다.

전재강, 이희철, 이광구, Esa Tapani를 사사한 호르니스트 정호영은 2022년부터 제주특별자치도립 서귀포관악단 차석단원으로 활동 중이며, 독주와 실내악 및 교육자로서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이번 리사이틀은 ”Episode I. Europe“ 이라는 주제로 기획하게 되었으며, 관객들로 하여금 비교적 어렵지 않게 감상할 수 있는 곡들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준비하였다.

1부에서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근현대 작곡가 Eugène Bozza의 ‘Sur Les Cimes pour Cor en Fa et Piano’ 작품을 시작으로, 독일 출신 오르가니스트 겸 작곡가 Josef Gabriel Rheinberger의 ‘Sonata for Horn and Piano, Op. 178’를 선보일 예정이다. 2부에서는 독일 낭만주의 음악의 대가 Johannes Brahms의 ‘Horn Trio, Op. 40.’ 작품 전 악장을 도립 서귀포관악단 악장이자 Henri Selmer Paris 악기 아티스트인 ‘정준화’와 함께 연주할 예정이다.

특히 바이올린과 호른, 피아노 구성으로 작곡되어진 원곡에서 벗어나 바이올린 대신 클라리넷 악기를 사용, 유럽 정통 음악들의 진수와 예술적 표현 방식의 무한함을 느낄 수 있는 공연을 준비 중이다.

 

○ 프로그램
  1. Sur Les Cimes pour Cor en Fa et Piano
     - Eugène Bozza

  2. Sonata for Horn and Piano, Op. 178
     - Josef Gabriel Rheinberger
        I. Con moto
        II. Quasi adagio
        III. Con fuoco

 - Intermission -

 3. Horn Trio, Op. 40 
     - Johannes Brahms
       [Violin 대신 Clarinet 연주, Clarinet으로의 연주 국내 초연]
       [Cl. 정준화(서귀포관악단 악장, Henri Selmer Paris Artist)]
        I. Andante
        II. Scherzo-Allegro
        III. Adagio mesto
        IV. Finale, Allegro con brio

목록으로